축의금 때문에 고민이 많으시죠?
고민 그만하시고 축의금 봉투 올바르게 쓰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축의금 봉투 쓰는 법
일반 편지봉투에 '세로 쓰기'하면 됩니다.
👉 축의금 봉투 앞면 작성법
봉투의 중앙에 '혼인을 축하합니다'라고 적거나 '축 혼인'이라는 결혼식 축하 문구를 씁니다.
👉 축의금 봉투 뒷면 작성법
결혼식 축의금 봉투 뒷면에 써야 할 것은 이름과 소속기관 또는 소속단체입니다.
소속은 생략 가능하지만, 이름은 한글로 세로로 적는 것이 좋습니다.
아래 예시 따라 작성하시면 됩니다.
신랑 측 봉투 작성법
💡 봉투 앞면
▪ 봉투의 중앙에 "축의금" 또는 "축하합니다"라는 문구를 적습니다.
▪ 그 아래에 신랑의 이름을 적습니다.
💡 봉투 뒷면
▪ 자신의 이름과 연락처 또는 주소를 적습니다.
▪ 예를 들어, "보내는 사람: OOO"라고 씁니다.
신부 측 봉투 작성법
💡 봉투 앞면
▪ 봉투의 중앙에 "축의금" 또는 "축하합니다"라는 문구를 적습니다.
▪그 아래에 신부의 이름을 적습니다.
💡 봉투 뒷면 :
▪ 자신의 이름과 연락처 또는 주소를 적습니다.
▪ 예를 들어, "보내는 사람: OOO"라고 씁니다.
축의금 봉투 사용 문구
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결혼식 축하 문구입니다.
🧡 축 혼인 / 축 결혼 / 축 화혼 / 축 성혼
🧡 혼인을 축하합니다 / 결혼을 축하합니다
축의금 액수
청첩장을 접할 때마다 얼마가 적정한지 걱정되고 눈치도 보이시죠?
일반적으로 아는 사람에게 축의금을 낼 때는 5만~10만원 정도 낸다고 합니다.
다만 친한 사이일 경우, 축의금 액수가 10만원을 넘는 게 전반적인 사회적 추세입니다.
연령별 축의금 액수는 다음과 같습니다.
✅ 20대는 6만원
✅ 30~40대는 10만 원
✅ 50~60대는 12만 원
✅ 나이와 무관하게 적정 축의금이라고 생각하는 액수는 10만 원입니다.
혼인과 결혼의 뜻 제대로 알기
🧡 혼인 : 혼(婚)은 "아내의 친정" , 인(姻)은 "사위의 집"을 뜻합니다.
따라서 이 혼인이란 말은 아내와 사위 곧 “남녀가 장가들고 시집가는 일”이 됩니다.
🧡 결혼 : 결혼(結婚)은 혼인에서 인(姻)이 없으므로 남자가 장가간다는 뜻만 있고, 여자가 시집가는 것에 대한 뜻은 없습니다.
따라서 “혼인”에 견주면 “결혼”은 남녀를 차별하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'축 혼인'이라는 말이 '축 결혼'보다 많이 쓰입니다.
봉투 선택과 주의사항
✅ 봉투 선택 : 결혼식에는 일반적으로 한자로 된 봉투가 많이 사용됩니다.
✅ 주의사항 : 봉투가 얇을 경우, 돈이 비치지 않도록 이중 봉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✅ 여러 사람의 축의금을 전달할 경우, 각자의 이름과 금액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.
✅ 봉투는 깨끗하고 정갈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✅ 금액은 봉투 안에 넣고, 봉투의 겉면에는 금액을 적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축의금 봉투 쓰는 법은 다양한 경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올바른 봉투 작성법을 알고 있으면,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.